티스토리 뷰
개인적으로 발표를 준비하면서 참고한 사이트들이다. 추후 쿠버네티스 혹은 서버 공부를 하게 된다면 참고해도 좋을 것 같은 사이트들! 자세한 작동 원리까지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, 그래도 어떤 의미를 지닌 용어들인지는 알 수 있었다..! :)
1. Pipeline
- Jenkins Pipeline (or simply "Pipeline" with a capital "P") is a suite of plugins that supports implementing and integrating continuous delivery pipelines into Jenkins.
- CI/CD 파이프라인을 젠킨스에 구현하기 위한 일련의 플러그인들의 집합이자 구성
- https://www.jenkins.io/doc/book/pipeline/
- https://onestone-note.tistory.com/38
2. CI/CD
- CI는 Continuous integration(지속적인 통합)이고, CD는 Continuous delivery 혹은 Continuous deployment 두 가지 용어로 사용이 된다.
- CI란,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변경 사항(버그 수정, 새로운 코드 추가)이 정리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되어 공유 레파지토리에 통합(merge)하는 것을 의미한다.
- CD는 CI에서 빌드가 되고 테스트가 된 후에 배포 단계에서 릴리스를 할 준비 단계를 거치고 문제가 없는지, 수정할 만한 것들은 없는지 검증 과정을 거치게 된다. 이 후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도 되겠다고 판단이 된 후 배포를 수동적으로 진행하면 Continuous delivery가 되고, 배포 준비가 되자마자 자동화를 통해 배포를 진행하는 것은 Continuous Deployment이다.
-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0Emq5FypiMM
- https://foot-develop.tistory.com/m/14
- https://jud00.tistory.com/entry/CICD%EB%9E%80-%EB%AC%B4%EC%97%87%EC%9D%BC%EA%B9%8C
3. Jenkins 젠킨스
- 모든 언어의 조합과 소스 코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지속적인 통합(CI)과 지속적 배포(CD)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도구
- Commit - Build - Test - Stage - Deploy라는 일련의 CI/CD 과정을 자동화해줄 수 있음!
-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과 연동해 소스의 커밋을 감지하면 자동적으로 자동화 테스트가 포함된 빌드가 작동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줌. 이 과정에서 컴파일 오류를 검출 / 자동화 테스트를 수행하는 등 배포 작업에 도움이 됨.
- https://narup.tistory.com/179
- https://krksap.tistory.com/1377
- https://foot-develop.tistory.com/m/14
4. 프로비저닝
- 어떤 종류의 서비스든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
- IT 인프라를 설정하는 프로세스이며, 사용자와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와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단계를 지칭하기도 함.
- 서버 프로비저닝, 네티워크 프로비저닝, 사용자 프로비저닝, 서비스 프로비저닝등 다양한 유형이 있음.
- https://www.redhat.com/ko/topics/automation/what-is-provisioning
-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D%94%84%EB%A1%9C%EB%B9%84%EC%A0%80%EB%8B%9D
- https://jins-dev.tistory.com/entry/%ED%94%84%EB%A1%9C%EB%B9%84%EC%A0%80%EB%8B%9DProvisioning-%EC%9D%B4%EB%9E%80
5. Helm 헬름
- Helm is a tool for managing Kubernetes charts. Charts are packages of pre-configured Kubernetes resources. 헬름은 쿠버네티스 차트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고, 차트는 사전 구성된 쿠버네티스 리소스의 패키지이다.
-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m7iZtjeIHJw
- https://www.bmc.com/blogs/kubernetes-helm-charts/
- https://bcho.tistory.com/1337
- https://boxboat.com/2018/09/19/helm-and-kubernetes-deployments/
6. Value Files
7. Multibranch Pipelines
- https://devopscube.com/jenkins-multibranch-pipeline-tutorial/
- https://dzone.com/articles/implement-ci-for-multibranch-pipeline-in-jenkins
- https://www.cloudbees.com/blog/jenkins-multibranch-pipeline-with-git-tutorial
- https://waspro.tistory.com/707
'🐳 Kubernetes > Kubernetes in Google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클라우드 스터디잼 마무리 회고 (0) | 2022.08.03 |
---|---|
구쿠다스 스터디 발표 PPT 및 영상 (0) | 2022.08.03 |
Lab 5: Continuous Delivery with Jenkins in Kubernetes Engine (0) | 2022.07.26 |
Lab 1: Introduction to Docker (0) | 2022.07.24 |
Lab 4: Managing Deployments Using Kubernetes Engine (0) | 2022.07.23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TypeScript
- 바리바리
- AwsCloudClubs
- ceos
- access token
- react
- 로그인 기능 구현
- 이분탐색
- 세오스
- AWS
- cloud
- 투포인터
- route table
- Subnet
- JWT 토큰
- refresh token
- 리액트
- 정렬
- DOM
- 그리디
- NaCl
- 프론트엔드
- IGW
- vpc peering
-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
- 로컬스토리지
-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
- 쿠키
- jwt
- VPC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